상가주택 옥상 방수 시공과 우레탄 하자 점검 방법

옥상은 건물의 노출면으로 빗물과 자외선, 보행 하중을 모두 받기 쉽다.

따라서 상가주택 옥상 방수는 초기부터 꼼꼼하게 시공하고 정기 점검을 통해 하자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은 사진으로만 판단하기 어려운 옥상 방수 하자의 원인과 실무적인 점검 포인트를 설명한다.

옥상 방수 하자 증상과 원인

하자 증상으로는 물 고임, 박리된 막, 균열, 페인트 또는 우레탄층의 부풀음과 탈락 등이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내부 누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빠른 원인 파악이 필요하다.

원인은 표면 전처리 불량, 배수 경사 미비, 이음부 처리 부실, 기존 재료의 잘못된 겹침 등이 대부분이다.

특히 우레탄 방수의 경우 기존 우레탄 위에 재시공할 때 접착력 확보가 되지 않으면 박리로 이어진다.

기존 우레탄 제거와 표면 정리

기존 우레탄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거나 접착 불량이 의심되면 매끄럽게 철거해야 한다.

철거가 불완전하면 새로 도포한 층의 밀착력이 떨어져 추가 하자가 생기기 쉽다.

철거 후에는 콘크리트의 크랙과 레벨을 점검하고, 균열은 에폭시 주입이나 우레탄 리페어로 보강한다.

표면의 기름기와 먼지는 고압세척과 건조과정을 통해 완전히 제거해야 향후 옥상 방수 성능이 유지된다.

시공 방법과 체크 포인트

우레탄 방수 시공 시에는 프라이머 도포, 중간층의 두께 확보, 그리고 최종 도막의 건조 시간을 지켜야 한다.

접합부와 이음부는 보강재를 넣어 처리하고, 배수구 주변과 계단 연결부에는 추가 보강을 권장한다.

우레탄 방수는 엷게 여러 번 도포하는 것보다 규정 두께를 균일하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공 후에는 우레탄 도막의 경화 상태와 도막 표면의 박리 여부를 재확인해야 한다.

유지관리와 하자 보수 시기

정기 점검은 계절 변화 후와 우기 전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고임이 자주 발생하는 구간은 배수 개선과 재시공을 고려해야 하며, 작은 균열은 조기에 보수하면 큰 누수를 막을 수 있다.

하자 보수는 원인 규명을 먼저 하고, 동일한 재료와 공법으로 보강하되 표면 처리와 건조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

정확한 진단과 표면 준비, 공정 관리만 지켜도 옥상 방수의 수명과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우레탄 방수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하고 정기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비용 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길 권한다.

결혼의신지원톡톡결혼의정석회생의길역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