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 방수 완전정리: 옥상·화장실 방수 종류와 우레탄·에폭시 시공방법
액상 방수는 액체 상태의 방수재를 기층에 도포해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틈새나 곡면에도 밀착성이 좋아 옥상이나 실내 화장실에 널리 쓰입니다. 액상 방수는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접착력이 좋아 기밀성이 필요한 부위에 적합합니다. 액체방수라는 용어도 같은 범주로 사용되며, 재료 특성에 따라 우레탄, 에폭시 등으로 구분됩니다.
옥상 방수에 적합한 종류와 특징
옥상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므로 자외선, 온도변화, 보행 및 물받이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우레탄 방수는 탄성력이 좋아 온도 변화에 따른 균열을 잘 흡수합니다. 우레탄 방수는 박리나 균열이 발생한 부위에도 연속막을 형성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에폭시 방수는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해 차량 통행이 있는 옥상이나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장소에서 유리합니다. 다만 에폭시 방수는 탄성이 낮아 하부 기판의 움직임이 큰 곳에서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완 공법이 필요합니다. 액체방수의 선택은 사용 환경과 기판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전 진단이 중요합니다.
화장실 방수(실내) 시공 방법과 주의점
화장실은 내부 습기가 많고 타일 시공 등으로 마감되기 때문에 세심한 기밀 처리가 필요합니다. 액상 방수는 기포나 이음부가 최소화되도록 수차례 도포해 연속막을 형성하도록 합니다. 우레탄 방수는 얇고 유연한 도막을 만들어 타일 아래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므로 실내 방수에 많이 쓰입니다.
에폭시 방수는 접착력이 좋고 표면 경도가 높아 타일 본딩 전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하부 균열이 있는 곳에서는 보완층을 넣어야 합니다. 특히 배수구 주변, 코너부, 배관 관통부는 보강재를 삽입하거나 플래시 코팅을 해 누수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시공 절차와 유지관리 팁
시공 전 기초 정리와 건조가 가장 중요합니다. 기포 제거와 먼지 제거, 균열 보수 후 프라이머를 도포해야 접착력이 확보됩니다. 우레탄 방수는 보통 프라이머, 중도, 상도 순으로 시공하며 각 도포층의 건조시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에폭시 방수는 혼합비와 작업온도에 민감하므로 제품 사양을 정확히 지켜야 하며, 경화 후에는 표면이 단단해져 마모에 강합니다. 액상 방수 공사 후에는 초기 7~14일간 강우나 보행을 피하고 정기 점검을 통해 균열 발생 여부를 확인하면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됩니다.
선택 시에는 기판 상태, 사용 환경, 예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필요한 경우 보강재 사용과 배수 설계 개선을 병행하면 방수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액상 방수와 액체방수의 차이는 크게 없지만 재료 성질과 시공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니 목적에 맞는 우레탄 방수 또는 에폭시 방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