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 방수공사와 옥상 방수: 하자 줄이는 시공 핵심 포인트
최근 폭염과 장마, 폭우, 폭설 등 기후 변화로 옥상 방수 문제를 겪는 건물이 늘고 있다.
적절한 시공 방법과 사전 점검만으로 큰 하자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특히 우레탄 방수의 특징과 옥상 시공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사항을 정리한다.
우레탄 방수란 무엇인가
우레탄 방수는 액상 재료를 도포해 시공 후 연속된 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균열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이음새가 없기 때문에 침수 경로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시트방수와 달리 복잡한 배수구나 조인트 부위에 유리하며, 부분 보수가 쉬운 편이다.
기존 시트 위에 덧바르는 방식으로 철거 없이 공기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기존층의 상태와 접착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기존 방수층의 물리적 손상이나 부패가 있는 경우에는 철거 후 재시공이 안전하다.
시공 전 점검과 준비
시공 전 기초 표면의 상태 확인이 가장 중요하다.
콘크리트의 균열, 박리, 오염물 제거, 배수 경사 유무를 점검하고 필요 시 크랙 주입이나 몰탈 보수로 평탄화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배수구와 하수배관이 막혀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고인 물이 발생하는 부분은 경사 보정으로 우수 배제를 확보해야 한다.
접착력 테스트를 통해 기존 방수층과의 호환성을 확인하면 덧바름 시 발생할 수 있는 박리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시공 적정 온도와 습도도 확인해야 하며, 극한의 폭염이나 저온 환경에서는 경화와 접착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시공 방법과 품질 관리
프라이머 도포 후 2회 이상 도막을 형성해 총 도막 두께를 확보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1차 도막과 2차 도막 사이의 도막 간 건조 시간을 지켜야 하고, 2액형 제품은 혼합 비율과 작업 시간을 엄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서리와 파손 우려부는 보강재를 사용해 두텁게 처리해야 하며, 보행이나 기계적 손상에 대비해 보호층이나 톱코트를 적용하는 것이 수명을 연장한다.
시공 후 초기 유지관리 기간 동안에는 물 고임과 배수 상태를 자주 관찰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 좋다.
유지관리와 하자 예방
정기 점검을 통해 접합부, 배수구, 박리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부분 보수를 즉시 시행하면 큰 재시공을 막을 수 있다.
우레탄 도막의 평균 수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보수와 보호층 보강을 통해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덧바름으로 철거를 피할 때는 사전 접착성 확인과 소규모 시험부 시공을 권장한다.
적절한 시공 설계와 주기적 점검은 폭우나 눈, 열변형 등 극한 기후가 잦아진 요즘 더욱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