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 방수 보수와 우레탄 방수 재도장 시 주의할 점과 실무 요령

옥상 방수 보수 작업을 시작하기 전 기존 코팅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레탄 페인트를 바른 지 4~5년이 지나고 하도를 신나와 5:5로 섞어 바른 후 일부가 녹아 우글거린다면 원인과 대처 방법을 단계별로 점검해야 합니다.

문제 원인 파악

우선 기존 도료가 녹아 보이는 현상은 과도한 희석이나 용제의 종류 불일치에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우레탄 방수 계열 제품은 사용된 신나나 희석비에 민감하여 과도한 희석 시 기존 도료가 녹거나 부풀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원인은 기존 도막의 경화 불량, 표면 오염, 또는 장기간의 자외선 노출로 인한 기질 약화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하도 자체가 기재와 잘 붙어 있지 않아 용제가 침투하면서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도 상태 점검 및 처리 방법

먼저 문제 부위를 손으로 만져보고 끈적임이나 말랑한 부분을 확인합니다. 손상된 부분은 솔질이나 스크래퍼로 제거해 건전한 기질이 드러날 때까지 정리해야 합니다.

제거 후에는 세척과 건조를 충분히 진행합니다. 표면에 남은 용제나 오염물은 접착을 방해하므로 탈지 후 완전 건조를 권장합니다. 필요하면 경화된 부분은 샌딩으로 거칠게 만들어 상도와의 기계적 결합을 확보합니다.

재도장 시기와 건조 시간

표면이 말랐다고 해서 재도장을 바로 진행하면 안 됩니다. 우레탄 방수의 경우 표면 건조와 내부 용제의 완전 증발은 다릅니다. 표면이 건조했더라도 내부에 용제가 남아 있으면 상도 도포 시 부풀음이나 박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완전 경화 여부를 제조사 권장 시간 이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온과 환기 상태에 따라 24시간에서 여러 일까지 건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량의 테스트 도장을 통해 며칠 후 박리나 변형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적정 희석비와 제품 호환성

제조사 권장 희석비를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옥상 방수 보수에서 임의 희석은 위험합니다. 신나와 같은 용제는 제품별 권장 용매를 사용해야 하고, 희석비를 과도하게 높이면 도막 성능 저하와 용제 침투로 인한 손상이 생깁니다.

또한 기존 도료와 상도 사이의 호환성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필요 시 접착성 테스트를 하고, 호환 불명 시에는 중성 에폭시 프라이머 등 호환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제품을 검토합니다.

시공 시 체크사항과 유지관리

시공 시에는 얇은 층을 여러 번 덧바르는 것이 한 번에 두꺼운 도막을 올리는 것보다 안전합니다. 작업 온도와 습도를 확인하고 환기를 확보하십시오.

정기 점검과 진단을 통해 우레탄 방수 면의 손상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작은 손상은 신속히 보수하면 전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분 용해나 부풀음이 관찰되면 손상부 제거와 충분한 건조 후 제조사 권장 비율로 재도장하고, 사전 테스트를 통해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안전합니다.

지원톡톡보안IT청년돈길결혼의신IT기술